여미지식물원은 중문 관광 단지 북쪽에 위치하며 1132로를 타면 쉽게 갈 수 있다. 아름다운 땅이란 뜻을 지닌 여미지식물원은 동양 최대의 온실을 지니고 있으며, 대지 11만 220...
여미지식물원은 중문 관광 단지 북쪽에 위치하며 1132로를 타면 쉽게 갈 수 있다. 아름다운 땅이란 뜻을 지닌 여미지식물원은 동양 최대의 온실을 지니고 있으며, 대지 11만 2200㎡의 외부 정원과 1만 1361㎡의 실내 식물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부 정원은 야자수와 같은 커다란 나무가 숲을 이루며, 한국, 일본, 이탈리아. 프랑스식 정원을 만들어 놓아 동, 서양의 정원을 감상할 수 있다.
총 2천 3백여 종의 식물이 살고 있으며, 온실 안에서는 약 절반인 1300여 종의 식물이 살고 있다. 실내 식물원은 중앙 홀과 높아가 38m인 중앙 전망탑이 있다. 또한 다양한 테마로 꾸며진 정원을 볼 수 있는데, 신비의 정원, 꽃의 정원, 물의 정원, 선인장 정원, 열대 정원, 열대 과수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신비의 정원은 화산 암반석과 양치식물, 자생 식물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꽃의 정원은 열대 및 아열대 식물들로 조성되어있다. 물의 정원은 연못과 습지로 조성되어 있으며, 열대 정원과 열대 과수원은 열대 과수와 식물들로 조성되어있다. 선인장 정원은 어린 왕자에도 나오는 바오밥나무를 볼 수 있다.
제주아리랑 new 혼은 2018 평창동계올림픽 공식 초청 작품으로 신명나는 제주아리랑과 환장적인 태권뮤지컬, 두드림, 한국무용을 감상할 수 있다.
이 공연의 큰 뼈대이자 작품 내...
제주아리랑 new 혼은 2018 평창동계올림픽 공식 초청 작품으로 신명나는 제주아리랑과 환장적인 태권뮤지컬, 두드림, 한국무용을 감상할 수 있다.
이 공연의 큰 뼈대이자 작품 내내 관찰되는 주제의식은 바로 '다양한 한국문화요소 간의 조우'다. 한편의 서사시 같은 혼의 무대에서 한국의 전통적이고 독특한 문화의 단면들이 우연처럼 융합되며 등장한다. 여러분이 보게될 혼의 모습은 그저 바라보는 것 만으로도 아름답고, 절로 흥이 날 것이다.
작품 속에서 그려지는 아름다운 봉황마을과 그곳에서 꽃피우는 사랑과 우정, 그리고 선과 악의 대결 구도을 통해 표현되는 인간 내면의 평화와 자유, 이모든 것이 곧' 제주아리랑'의 '혼' 으로서 진정 상징화된다.
<제주아리랑 new 혼>은 이를 통해 한국인의 자긍심을 일깨우고, 세계적 문화강국으로서의 위상을 널리 펼쳐나갈 것이다.
곶자왈은 ‘곶’과 ‘자왈’의 합성어이다. 제주어로 곶은 ‘숲’, 자왈은 ‘자갈이나 바위 같은 암석 덩어리’를 뜻한다. 곶자왈은 화산이 폭발하면서 분출한 용암 지형으로 나무와 돌 따...
곶자왈은 ‘곶’과 ‘자왈’의 합성어이다. 제주어로 곶은 ‘숲’, 자왈은 ‘자갈이나 바위 같은 암석 덩어리’를 뜻한다. 곶자왈은 화산이 폭발하면서 분출한 용암 지형으로 나무와 돌 따위가 제멋대로 뒤섞여있는 제주의 독특한 숲을 의미한다. 돌이 많은 곶자왈 지역에서는 농사를 지을 수 없다. 주민들은 곶자왈 지대를 주로 방목지로 이용하였고 이곳에서 땔감을 얻고 숯을 만들어 쓰기도 했다. 하지만 곶자왈이 독특한 식생으로 숲을 이루고 제주 생태계의 허파가 되어왔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학술적 의미가 공감되고 보존 가치가 증폭되기 시작했다.
교래자연휴양림은 곶자왈 생태 체험이 가능한 최초의 휴양림이다. 휴양림 안에 생태관찰로(2.5km)와 오름산책로(7km) 두 가지 탐방 코스가 있다. 탐방길을 걷다 보면 함몰지와 돌출지가 불규칙하게 이어지는데 이 때문에 곶자왈은 열대 북방한계식물과 한대 남방한계식물이 공존하는 독특한 식생을 갖게 되었다. 아열대식물인 천량금을 비롯해 주름고사리, 개톱날고사리 등 남방계 식물은 물론 한라산 고지에서나 볼 수 있는 좀고사리와 한반도의 최북단인 두만강이나 압록강에서도 서식하는 골고사리, 큰지네고사리 등 북방계 식물도 관찰된다.
곶자왈에는 곧게 뻗어 솟은 나무들이 없다. 돌과 바위를 비집고 태어난 나무들은 휘어지고 구부러진 채로 자라났으며 덩굴을 둘둘 감은 채 살아간다. 특히 화산석을 휘감고 땅 위로 뿌리를 노출한 나무도 쉽게 볼 수 있는데 이를 ‘판근현상’이라 한다. 교래자연휴양림 숲에는 겨울철 추위를 피해 내려온 노루들이 피난처로 이용한 노루굴, 곶자왈에 방목된 우마들을 관리하던 움막터, 숯을 만들어 내던 가마터의 흔적이 아직 남아있다.
제주 성읍마을 마을역사
성읍마을은 조선조 태종 10년(1410년) 성산읍 고성리에 설치되었던 읍치(고을 수령이 사무를 관장하던 관아가 있던 장소)가 조선조 세종 5년(1423년)...
제주 성읍마을 마을역사
성읍마을은 조선조 태종 10년(1410년) 성산읍 고성리에 설치되었던 읍치(고을 수령이 사무를 관장하던 관아가 있던 장소)가 조선조 세종 5년(1423년) 이곳으로 옮겨진 이래 500여 년간 정의현의 중심이 되었던 유서 깊은 마을이다.
기록에 의하면 원래 정의현은 태종 16년(1416년) 안무사 오식의 건의에 따라 성산읍 고성리에 정의성을 축성 하였었으나, 읍치가 너무 동쪽에 치우쳐 행정상 불편할 뿐만 아니라 태풍의 피해가 잦고 또한 우도가 가까이 있어 외적으로 부터의 침입이 빈번하였으므로 안무사 전관이 건의하여 세종 5년(1423년), 당시 진사리(현 표선면 성읍리)로 현치(현의 읍치)를 옮기게 되었다 한다.
따라서 일명 진사성이라고도 불리었던 정의성은 축성을 시작한지 5일 만인 세종 5년 정월 13일에 총 둘레 2,986척, 높이 13척의 규모로 완공되었는데 성에는 동서남으로 세 개의 문을 두었고 성안에는 두 곳의 우물이 있었다.
숙종 28년(1702년) 이형상 목사의 「탐라순력도」에 의하면 정의현의 당시 민가 호수가 1,436호, 전답이 140결, 성수비군이 664명, 말 1,178필, 흑우 228수를 보유할 정도의 상당히 번성하였던 읍성이었던 것만은 확실하다.
1423년 이후부터는 약 5세기 동안 정의현의 읍치로 번성하였던 성읍은 1915년 5월 1일부로 제주도제가 시행되면서 표선면 면소재지로 격하되었다. (지금의 표선면은 1935년 동중면이 개칭된 이름이다).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성읍마을은 그 역사적 중요성이 부각되어 문화재적 차원에서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되었다.
그리하여 제주도 지정 민속자료 제5호로 지정되었고, 이어 1984년 6월 총 1,425필지 3,191,711㎡의 면적이 중요민속자료 188호 국가지정문화재로 승격되었으며, 1987년 9월에는 보호구역이 935필지(790,747㎡)로 축소 조정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공항으로 가는 길에 용두암에 위치한 제주의 대표적인 해녀촌으로 간단히 식사를 하거나 커피를 마시며 마지막으로 제주의 푸른바다를 감상하실 수 있는 마지막 여정지입니다.
농수산물 직매장
제주공항 도착 및 수속
예정 호텔정보
총 0개의 예정 호텔이 있습니다.
해당 호텔정보(등급/시설정보 등)는 포털 사이트 정보로 예외적으로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니 이 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식사
조식 - 호텔식, 중식 - 토종돼지주물럭, 석식 - 개별식
현지교통
대형버스 행사인원에 따라 행사차량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쇼핑정보
전 일정 중 총 회의 쇼핑센터 방문이 있습니다.
쇼핑정보
쇼핑센터 안내
교환 및 환불안내
전 일정 중 총 회의 쇼핑센터 방문이 있습니다.
쇼핑품목
쇼핑장소
예상소요시간
환불여부
교환 및 환불안내
선택관광
선택관광
1. 선택관광 및 자유시간 중 고객님의 안전을 위하여 가이드의 안내사항 및 안전수칙을 준수하여 모든 안전사고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2. 현지 선택관광은 가이드의 주의사항을 숙지 후 참여 여부를 결정하여 주시기 바라며, 참여 전 반드시 배포되는 안전수칙 동의서를 숙지 및 동의 후 참여하시기 바랍니다.
3. 이용자 본인의 과실 및 건강상태로 인하여 발생한 안전사고에 대하여 당사는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4. 선택관광은 고객님이 자유롭게 지불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선택관광에 참여하지 않음으로 인한 추가적인 비용 또는 일정상의 불이익은 없습니다.
선택 관광이 없는 상품입니다
예약은 로그인후 이용해 주세요!
상호 ㈜비즈탑코리아_투어벨│대표 박민성│고객센터 1666-2765
고양시 덕양구 원흥5로 4(삼송동, 디올리치빌딩 302호)
사업자등록번호 403-87-00103
통신판매업신고 : 제 2016-고양덕양구-0966호
이메일 6019billion@naver.com
개인정보보호책임자 이은경
[상담시간]
평일 10:00~17:00 (주말/공휴일 휴무)
점심시간 12:00~13:00
Copyrightⓒ 비즈탑코리아_투어벨 All Rights Reserved.